enjoy

Museum

home enjoy/attraction attraction Museum
  • 1574647729@용인시박물관.jpg

    용인시박물관

    용인에서 발굴된 유물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용인시의 첫 시립 유적전시관이다. 역사적 보존가치가 뛰어난 구석기 문화층을 이전·복원 전시하고 또한 조선시대 주거지, 삼국시대 석실분, 석관묘 등 야외 전시장과 문화재 발굴 체험실을 갖추고 있어, 학생들을 위한 학습공간으로 손색이 없다. [장애인접근성] 장애인화장실O 장애인주차구역O 휠체어대여X 수유실X 유모차대여X 유아용의자대여X 외국어안내X
    + more view
  • 1574041855@예아리박물관.jpg

    예아리박물관

    한국문화관- 2F 우리나라 상고시대부터 현대까지의 상례문화를시대와 주제별로 나누어 전시하는 공간입니다. 전시실에는 150여점의 유물이 전시되어 있으며, 철저한 고증을 통해 재현한 조선의 22대 왕인 정조 대왕의 국장도감의궤반차도를 미니어쳐로 현장 감 있게 재현하여, 조선시대에 왕의 장엄한 국장행렬을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세계문화관 - 1F 아시아의 상례문화인 조장, 현관장 등을 실감나게 재현한 모형을 비롯하여 일본의 상여, 중국 소수민족들의 상례관련 유물 등 총 100여점의 유물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인류의 공통성과 다양성을 이해하며 각 문화권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하늘을 나는 가오리연을 상징하는 형태의 문화상품점은 영상교육실, 학예연구실, 뮤지엄샵 등이 자리하고 있다. 영상교육실에서는 지역문화와 새로운 상례문화를 선도해 나갈 열린 공간으로 활용될 것입니다. 문화상품점 박물관의 소장품을 모티브로 하여 개발된 각종 상품과 전통을 재해석하여 현대화한 디자인 실용상품까지 다양하고 아름다운 문화상품을 전시판매합니다. 수공예로 만들어진 삼베 작품, 예아리박물관에서만 구매할 수 있는 자체 개발 상품과 서적, 공예상품 등 다양한 문화상품을 만나 보실 수 있습니다. ※ 개점시간  - 평일 : 09:00 ~ 18:00  - 토, 일요일 : 9:00 ~ 18:00  - 월요일 : 휴점 영상교육관 영상교육관에서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여러 민족들의 통과의례를 다큐멘터리와 영상·사진자료를 통해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세미나관 프로젝트기와 음향시설을 완벽히 갖춘 이곳에서는 전국의 상례 관련 교수진과 실무를 담당하는 전문가가 상례 문화의 발전을 위하여 주기적으로 세미나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 more view
  • 1574041319@삼성화재교통박물관.jpg

    삼성화재교통박물관

    경기도 용인 유운리에 있는 삼성교통박물관은 1998년에 개관한 교통 전문 박물관으로 교통수단의 역사 및 과학을 배울 수 있는 공간이다. 주전시장, 로비전시장, 야외전시장과 영상실, 자료실, 기념품점 등이 준비되어 있으며 1979년 형 포니, 1969년형 개인운수업용 용달차 마스터T-600, 1967년형 신진퍼블리카, 1899년형 로코모빌 증기자동차, 1959년형 비틀 등 국내외의 희귀하고 특색 있는 자동차 30여 대를 전시하고 있다.

    오토바이, 자전거, 마차 등 교통수단의 발달 과정을 보여주는 실물, 모형, 관련 부품, 장식품과 기념품을 볼 수 있으며 자동차를 소재로 한 사진, 광고포스터, 판화예술품 등도 만날 수 있다. 역사적 소장가치가 있는 자동차와 교통 발달사 관련 전시품들이 탄생에서 미래까지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외에도 교통관련 도서류, 시청각 자료 등이 있으며 자동차와 선박의 발달사를 정리한 연표와 작동 전시물도 있다. 박물관에서는 소장품 관리와 손상된 부분의 전문적 복원으로 출시 당시의 외관과 기능을 잘 간직하고 있다. 또한 어린이 교통안전 체험교육장인 삼성화재 교통나라도 운영 중이다.
    + more view
  • 1574040949@명지대학교자연캠퍼스박물관.jpg

    명지대학교자연캠퍼스박물관

    경기도 용인 남동에 위치한 명지대학교박물관은 우리나라의 역사, 문화, 예술, 민속, 고고학, 미술사와 일반생활 용구 등에 대한 자료를 발굴, 수집해 전시하고 보관하고 있으며 관련 분야에 대한 조사와 연구를 하고 있다. 1979년 개관한 명지대학교 부속박물관으로 명지학원 설립자 유상근이 기증한 소장품 100여 점이 그 출발점이다. 개관 후 고고학연구에 주력하고 있으며 1982년 경기도 용인, 이천의 지표조사와 제주도 법화사지 발굴조사 등 다양한 발굴과 지표조사의 활동을 하고 있다. 1985년에는 전통목공구전시회를, 1988년에는 오이도 신석기유물전시회 등을 개최했다. 박물관 총서 제1집 법화사지 발굴조사 보고서, 제2집 안양, 평촌의 역사와 문화유적, 제9집 용인 좌항리 고려분묘군 발굴조사 보고서 등의 저서와 명지대학교 박물관도록 등 학술총서를 발간해 오고 있다
    + more view
  • 1574040811@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jpg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한국 복식사 연구의 선구자인 난사 석주선이 민속유물 3,365점을 단국대학교에 기증하여 1981년 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으로 문을 연 박물관이다. 1999년 3월 단국대학교박물관과 통합한 뒤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박물관 1·2층의 제1~4전시실에는 9,000여 점에 이르는 민속·복식학 분야의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이 중 제1전시실에는 16세기 출토 복식과 복원품이 있고, 제2전시실에는 광해군 왕비의 저고리, 고종의 누비저고리, 흥선대원군의 자적용포 등 왕실의 복식, 제3전시실에는 관모류·귀고리·노리개·신발 등 복식부속품, 제4전시실에는 왕과 왕비의 대례복을 비롯하여 조복·상복·구군복 등이 전시되어 있다. 국가지정 중요민속자료 제1호인 덕온공주(조선 순조의 셋째 공주)의 당의를 비롯하여 중요민속자료 10종 76점이 있다. 해마다 개관 기념행사로 학술발표회와 특별전시전을 개최한다. 전시 외에 고구려 문자왕 때의 것으로 추정되는 삼존석불 발굴, 강원도 정선의 신석기시대 및 청동기시대 선사유적 발굴, 양평군 병산리의 구석기유적 발굴 등에 참여하여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 more view
  • 1574037694@한국등잔박물관.jpg

    한국등잔박물관

    우리의 삶의 모습을 지켜보다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등잔들이 한곳에모여 아름다운 불꼿으로 다시 피어오르고 있다. 바로 등잔박물관이다. 여든을 넘기신 김동휘 선생이 40여 년간 틈틈이 모아 온 자료들을 중심으로 1997년 9월에 경기도 용인시 모현면 능원리에 자리잡고 경기도 테마박물관으로 개관했다. 박물관은 수원 화성 성곽의 이미지를 따서 건축되었다. 성곽의 형태를 본뜬 회백색 건물은 마치 햇불이나 등대처럼 보인다. 지하1층,지상 3층가운데 1,2층은 전시공간이며, 지하층은 세미나 및 각종 공연을 위한 휴식공간이다. 800평 규모의 야외 전시장은 자연석과 다양한 종류의 나무, 그리고 연못이 한데 어우러져 있다.
    + more view
  • 1594600597@경기도어린이박물관3.png

    경기도어린이박물관

    경기도어린이박물관은 어린이들의 꿈과 호기심, 상상력을 키우기 위해 설립된 체험식 박물관입니다.
    + more view
  • 1585816766@20120209_ggmuseum_03.jpg

    경기도박물관

    경기도 용인 상갈리에 위치한 경기도박물관은 1996년 경기도의 역사와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키기 위해 개관했다.
    + more view
1